OECD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4%로 상향 물가상승률은 2.2%
경제협력개발기구인 OECD가 올해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4%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지난해와 올해 평균 성장률은 주요 선진국 중 최상위 수준으로 예측했으며 글로벌 상위 10위권 국가 중에서는 유일하게 2년 연속으로 성장률 전망을 상향했습니다. 이는 지난 5월 전망치(3.8%)보다 0.2% 상향한 것입니다.
당초 OECD는 지난 5월 전망 때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을 주요 전망기관 중 가장 낮은 수준은 3.8%로 전망했지만 한국경제의 빠르고 강한 회복세와 예상을 뛰어넘는 성과 등을 감안해 지난 21일 중간 경제전망을 통해 성장률 전망을 높였습니다. 이로써 IMF 4.3%, 3대 신평사 4.0%, 한국은행 4.0% 등 주요 기관 모두가 올해 한국경제의 성장률을 4% 이상으로 내다 본 것입니다.
코로나 사태로 인한 OECD 타국들의 경제성장률은 그리 좋지 못합니다. 최근 델타변이 확산 영향을 감안해 미국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과 전 세계, G20 등 전반적인 성장 전망률을 하향 조정했지만 선진국 중에서 한국과 프랑, 이탈리아 등 일부 유럽 국가의 성장 전망을 높였습니다. 전 세계적으로는 0.1% 낮춘 5.7%, G20은 0.2% 낮춘 6.1%, 미국은 0.9% 낮춘 6.0%, 일본은 0.1% 낮춘 2.5%였습니다.
평균 성장률로 본다면 한국은 최상위권에 랭크됐습니다. 지난해와 올해 평균 성장률로 본다면 우리나라는 1.6%로 G20 선진국 10개 국가 중 1위를 차지했습니다. G20 전체 국가로 비교하면 중국(5.4%), 터키(5.1%)에 이어 3위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에 반해 OECD는 최근 전세계적인 인플레이션 우려를 감안해 이례적으로 물가전망을 별도 발표하며 전반적 물가전망을 상향했습니다. 앞서 OECD와 아시아 개발은행 ADB는 올해 한국의 물가 상승률을 2%대로 일제히 상향 조정했습니다. 지난 22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ADB는 이날 한국의 올해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1.8%(7월 전망치)에서 2%로 0.2% 올렸습니다. OECD 역시 중간 경제전망에서 한국의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5월(1.8%)보다 0.4% 높은 2.2%로 조정했습니다.
앞으로도 코로나19 사태가 확산되면서 세계 경제 회복세로 수요가 늘고 재난지원금 지급과 전기요금 등의 공공요금 인상으로 인해 물가상승은 피할 수 없을 전망입니다.
'3.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상생소비지원금 신청일 신청기준 대상자 사용처 사용방법 (0) | 2021.09.30 |
---|---|
암호화폐 거래소 구조조정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만 유지 (0) | 2021.09.25 |
갭투자는 무엇일까 뜻 이유 국토교통부 장관과 MZ세대의 미래 (0) | 2021.09.18 |
카카오페이 상장? 자동차보험료 비교는 '중개사업'으로 서비스 중단하나 (0) | 2021.09.11 |
1인당 25만원 5차 재난지원금과 저소득층 일자리 추석 관련 경제 (0) | 2021.08.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