갭투자는 무엇일까 뜻 이유 국토교통부 장관과 MZ세대의 미래
1. 갭투자는 무엇일까. 그 뜻
갭투자는 영어 Gap에서 나왔습니다. Gap이란 '차이'라는 영어단어로 일명 '차이투자'라 하며 그 뜻은 이미 전월세로 내놓은 집을 매입하는 투자방식입니다. 일반적인 예로 매매가가 1억인 아파트가 있습니다. 이미 현재 그 1억 원인 아파트는 전세 4천만 원으로 세입자가 거주 중입니다. 전세를 낀 집을 주인이 팔고 있는 가운데 실제로 남은 6천만 원을 투자하면 이 아파트를 매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을 바로 갭투자라고 말합니다.
2. 갭투자를 하는 이유
생각해보면 참 아이러니한 상황입니다. 당장 들어가서 실거주 할 집도 아닌데 투자를 하니 말입니다. 하지만 갭투자를 하는 큰 이유는 2가지로 양분됩니다. 첫째, 시세차익을 노리고 둘째, 당장 돈이 많지 않아서 입니다. 문재인 정권에 들어서면서 아파트 가격이 폭등했습니다. 그렇다면 종전에 1억 원인 아파트가 2억으로 올랐다면 6천만 원을 지급하며 매수한 아파트의 시세차익은 무려 1억이 되는 것이죠. 물론 모든 아파트의 매매가가 2배 이상 오르는 경우는 많지 않지만 요즘 뉴스를 통해 마주하는 부동산 이슈거리는 어쩌면 이것도 가능할지도? 라는 의문을 남김니다.
2. 갭투자에 대한 국토교통부 장관의 말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 7월, '지금 무리하게 집을 매매하면 2~3년 후 집값이 내릴 수 있다'며 이른바 영끌과 갭투자는 위험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과연 그럴까요? 정답은 '아무도 알 수 없다'입니다. 부동산 값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로 '공급'과 '수요'라는 개념입니다. 아파트를 짓는 행위가 많다면 평균적인 아파트 시세는 내려갈 것입니다. 반면 아파트를 짓는 행위가 많다 하더라도 살려는 사람이 더 많으면 다시 아파트 값이 올라갈 수 있겠죠. 부동산은 인구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현재 대한민국의 인구는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저출생률에도 불구하고 사망인원이 많지 않기 때문이죠. 2040년까지 대한민국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늘며 이후 점차 내리막을 걸을 예정입니다. 아마 10~20년 사이에 인구가 극하게 줄지 않는 이상 지방을 제외한 수도권과 광역시 부동산 값은 쉽게 내리지 않을 것 같습니다.
4. 일본의 부동산은?
흔히 일본을 빗대어 '한국의 미래'라고 말합니다. 문화도 성격도 비슷한 두 나라는 경제 발전이나 쇠퇴가 비슷하게 흘러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일본은 한국보다 더 한 고령사회로 일본의 지방에는 빈 집이 수두룩하다고 하네요. 반면 도쿄나 시부야 교토 등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곳에는 세계에서 손꼽힐만한 수준의 부동산 가격을 형성합니다. 현재 한국과 비슷한 상황입니다.
5. 2030 MZ세대의 미래는?
MZ세대의 뜻은 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와 1990년대 중반~ 2000년대 초반 출생한 Z세대를 통칭하는 말입니다. 바로 현재의 2030세대입니다. 취업난은 계속되고 엎친데 덮친 격으로 코로나로 인한 경제불황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가진 자가 더 가지게 되고 못가진 자는 더더욱 가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선진국의 주요 흐름이 이렇습니다. 선진국이라는 말은 좋지만 그 속에 품어져 있는 실상은 슬프기만 합니다. 그리스와 베네수엘라와 한국의 특징이 있습니다. 바로 '공무원'에 올인하는 나라입니다. 한 번의 실패가 인생을 좌우할 만큼 큰 도전이 되어버렸으니 점점 사람들은 안정화된 것만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당장 큰 돈이 필요치 않아도 얇게 그리고 길게 인생을 누리고 싶은 사람들의 욕구입니다. 이 나라는 발전이 있을까요? 부모보다 수익이 적은 자식이 시작되는 시점이 바로 2020년의 시작이었습니다.
'3.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상생소비지원금 신청일 신청기준 대상자 사용처 사용방법 (0) | 2021.09.30 |
---|---|
암호화폐 거래소 구조조정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만 유지 (0) | 2021.09.25 |
OECD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4%로 상향 물가상승률은 2.2% (0) | 2021.09.24 |
카카오페이 상장? 자동차보험료 비교는 '중개사업'으로 서비스 중단하나 (0) | 2021.09.11 |
1인당 25만원 5차 재난지원금과 저소득층 일자리 추석 관련 경제 (0) | 2021.08.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