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9. 물리치료학

척추세움근 erector spinae 엉덩갈비근 가장긴근 가시근 알아보기

by 화려한 공작새 2022. 3. 13.
반응형

척추세움근 erector spinae 엉덩갈비근 가장긴근 가시근 알아보기 

 

엉덩갈비근 iliocostalis

엉덩갈비근은 목엉덩갈비근, 등엉덩갈비근, 허리엉덩갈비근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엉덩갈비근'으로 붙여진 이름은 이 근육들이 인체의 엉덩이와 갈비뼈에 주로 부착하기 때문입니다. 

목엉덩갈비근은 이는점이 '제3~6갈비뼈 각'이며 닿는점은 '제4~6목뼈의 가로돌기'입니다. 등엉덩갈비근은 이는점이 '하위 6개의 갈비뼈 각'이며 닿는점은 '상위 6개의 갈비뼈 각'입니다. 허리엉덩갈비근은 이는점이 '엉덩뼈 능선과 엉치뼈의 뒷면'이며 닿는점은 '하위 6, 7개의 갈비뼈 각'입니다.  지배신경은 척수신경의 뒷가지이며 C8~L1입니다. 

 

근육의 특징으로는 양쪽이 작용하면 척주를 편 자세를 유지하고 한쪽이 작용하면 척주를 가쪽으로 굽히고 돌립니다. 또다른 척추세움근인 가장긴근과는 구별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스트레칭 방법은 목에서 허리에 걸쳐서 등을 둥글게 만듭니다. 또 목부위와 가슴부위만을 스트레칭하는 경우는 목부위와 가슴부위만 둥글게 하고 좌우 어느 한 쪽을 스트레칭하는 경우는 굽히면서 한쪽으로 굽힙니다. 촉진은 허리부위에서 시행하면 알기 쉬우며 가슴부위에서도 시행할 수 있지만 근육섬유의 일부가 어깨뼈 안쪽에 있고 가쪽으로 지나고 있기 때문에 촉진하기가 어렵습니다. 

엉덩갈비근의 작용으로는 척주를 뒤쪽으로 굽히며(신전), 척주를 가쪽으로 굽히고 돌림을 합니다. 지배신경은 척수신경 뒷가지입니다.


가장긴근 longissimus

가장긴근도 엉덩갈비근처럼 세 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가장긴근은 '머리와 목, 가슴가장긴근'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머리가장긴근은 이는점이 '상위 4, 5개의 등뼈가로돌기와 하위 3~5개의 목뼈관절돌기'이며 닿는점은 '꼭지돌기의 뒤모서리'입니다. 목가장긴근은 이는점이 '상위 4, 5개의 등뼈가로돌기'이며 닿는점은 '제2~6 목뼈의 가로돌기'입니다. 가슴가장긴근은 이는점이 '엉치뼈와 허리뼈의 가시돌기, 하위허리뼈의 가로돌기와 허리근막'입니다. 닿는점은 '등뼈가로돌기와 하위 9, 10개의 갈비뼈'입니다. 지배신경은 척수신경의 뒤가지입니다.

 

가장긴근의 전체적인 작용은 엉덩갈비근과 같으며 엉덩갈비근과 구별하는 것은 어렵고 또다른 척추세움근인 가시근과 구별하는 것은 더욱 더 어렵습니다. 스트레칭은 목에서 허리에 걸쳐서 등을 둥글게 합니다. 목부위, 가슴부위만을 스트레칭하는 경우 목, 가슴부위만 둥글게 하고, 좌우 어느 한쪽을 스트레칭하는 경우 굽혀주면서 가쪽으로 굽힙니다. 촉진은 다른 척주세움근과 마찬가지로 허리에서 시행하면 가장 알기 쉽습니다. 

가징긴근의 작용 중 머리가장기근은 머리를 뒤쪽 및 같은 쪽으로 굽히며 목가장긴근의 작용은 목을 뒤쪽 및 가쪽으로 굽히며 가슴가장긴근의 작용은 척주를 뒤쪽 및 같은 쪽으로 굽힙니다. 지배신경은 척수신경 뒷가지입니다.


가시근 spinalis

가시근 역시 세 부위로 나누어지며 머리가시근, 목가시근, 등가시근으로 구분됩니다. 

머리가시근의 경우 이는점은 '상위 6~7개의 등뼈와 제7목뼈의 가시돌기, 제4~6목뼈관절돌기'이며 닿는점은 '위아래목덜미선 사이의 뒤통수뼈'입니다. 목가시근의 경우 이는점은 '제1, 2등뼈와 제7목뼈의 가시돌기와 목덜미인대의 아래부위'이며 닿는점은 '제2, 3, 4목뼈의 가시돌기'입니다. 등가시근의 이는점은 '제1, 2허리뼈와 제11, 12등뼈의 가시돌기'이며 닿는점은 '상위 4~8개의 등뼈가시돌기'입니다.

 

가시근은 척주세움근 안에서 가장 안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주로 등근육을 펴는 기능이 있고 자세를 유지합니다. 스트레칭은 목에서 허리까지 등을 둥글게 합니다. 또 목부위, 가슴부위만을 스트레칭하는 경우 목, 가슴부위만을 둥글게 하고, 좌우 어느 쪽을 스트레칭하는 경우 굴곡시키면서 한쪽으로 가쪽굽힘시킵니다. 허리 아래에서 촉진할 수 있습니다. 

가시근의 작용으로는 다른 척주세움근과 협동하여 척주를 편 자세(등쪽으로 굽힘)를 유지합니다. 지배신경은 척수신경 뒷가지입니다.

반응형

댓글